반응형 디즈니2 디즈니플러스 부진하고, 넷플릭스 승승장구한다 디즈니플러스 MAU 201만 명… 넷플릭스의 6분의 1수준 디즈니플러스 "한국 오리지널 콘텐츠 강화"로 승부수 지난해 11월 국내에 상륙한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디즈니플러스가 한국 시장에서 유독 고전 중이다. 국내 출시 당시 넷플릭스의 대항마로 기대감을 모은 것을 감안하면 초라한 성적표다.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 인덱스에 따르면 올해 1월 디즈니플러스의 월간활성사용자수(MAU)는 201만명에 그쳤다. 같은 기간 넷플릭스의 MAU 1241만 명과만명과 비교하면 6분의 1 수준이다. 디즈니플러스는 토종 OTT 보다도 낮은 성적표를 받아 들었다.해당 기간 웨이브의 MAU는492만 명,티빙은419만 명, 기록했다. 믿었던 '설강화' 너마저…"킬러콘텐츠가 없다" 디즈니플러스의 한국 시장 부진은 눈길을.. 2022. 3. 5. 신규 모바일 게임 회사 (넷마블 모바일 게임과 애니팡 회사 니모 오션 라이프)가 디즈니랜드 자회사와 협력 게임 출시 신규 모바일 게임 출시 촉각 신규 모바일 게임 출시를 위한 유명 캐릭터 지식재산권(IP)을 보유한 디즈니와 우리나라 게임사 간 협력이 활발하다. 디즈니 IP를 기반으로 한 퍼즐부터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이 꾸준히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넷마블 모바일 게임과 선데이토즈 (애니팡 회사) 등은 올해 디즈니의 IP를 기반으로 제작한 모바일 게임을 서비스할 계획이다. 디즈니의 인지도가 높은 만큼 두 게임사의 신규 모바일 게임 흥행작 반열에 오를지에 시장의 관심이 쏠려있는 상황이다. 디즈니는 '미키와 친구들'부터 마블 '어벤져스', 디즈니·픽사 '니모' 등 전 연령층에게 사랑받는 폭넓은 캐릭터 IP 자산을 보유한 글로벌 기업이다. 이 회사는 한국지사인 디즈니코리아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2021. 5. 22. 이전 1 다음 반응형